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소련 장관회의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행정각부 ===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 인민위원회''' 1917년 11월 8일(율리우스력 10월 26일)에 노동자·병사 대표 소비에트 제2회 전러시아대회가 채택한 「인민위원회의 설립에 대해」의 포고에서 러시아 소비에트 공화국 인민위원회를 구성하는 기관으로서 육해군 대위원회와 함께 상공, 사법, 체신 , 노동, 외무, 식량, 재무, 교육, 철도, 내무, 농업, 민족문제[* 민족문제인민위원은 그 유명한 [[스탈린]]이었다.]의 12개 인민위원부가 설립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인민위원회''' 1922년 12월에 발표된 「소비에트 연방의 결성에 관한 조약」의 제11조에서는 최초의 소비에트 연방 인민위원회를 구성하는 기관으로서, 국민경제최고회의와 함께 외무, 육해군, 상업, 철도운수, 체신, 노농감사, 노동, 식량, 재무의 9인민위원부를 두었다. 이들은 1924년 1월에 정해진 연방헌법의 제8장에 따르면 전연방단위에만 놓인 5인민위원부(외무, 육해군, 대외무역, 철도운수, 체신)와 각 공화국마다 놓인 4인민위원부(노농감사, 노동, 식량, 재무, 그리고 국민경제최고회의)의 2종류로 나뉘었다. 1936년 12월에 개정된 [[스탈린 헌법]]에서는 전 연방단위에만 놓이는 것으로 국방, 외무, 대외무역, 철도운수, 체신, 해운, 중공업, 군수공업의 8인민위원부와 각 공화국마다 두는 것으로 식품공업, 경공업, 임업, 농업, 양곡·축산, 재무, 국내무역, 내무, 사법, 위생의 10인민위원부가 있었다. 1946년 3월 15일의 법령에 의해, 전연방, 공화국, 자치 공화국 단위의 모든 인민위원부는 부(部)로, 인민위원은 장관(міністр)으로 개칭되었다. 소련 말기인 1982년 기준. 소련 장관회의는 1946년부터 [[소련 최고회의]]의 선거 주기에 맞춰서 보통 4년에 한번씩[* [[이오시프 스탈린]] 생전엔 그딴 거 없었으며 1953년에서 1954년의 지도부 혼란기에는 1년만에 새로 조직되기도 하였다.] 총 11회 조직되었으며 마지막 조각은 1989년 6월이었다. '소련 내각'으로 변경된 후에는 1991년 1월 1일에 --처음이자 마지막-- 조각이 있었다. 당연히 소련 장관회의는 조직될 때마다 장관의 숫자를 포함하여 정부기관의 변동이 존재한다. 이 중 국방부를 포함한 일부 부처는 민간인도 아니고 정치장교도 아닌 '''현역 장성'''이 장관을 맡는 경우도 있었다. '''소련 인민위원회''' * '''인민위원부 (전연방성)''' * 국방인민위원부 (NKO) * 해군인민위원부 * 외무인민위원부 * 체신인민위원부 * 항공업인민위원부 * 중기계제조인민위원부 * 탄약인민위원부 * 병기인민위원부 * 일반기계제조인민위원부 * 공작기계제조인민위원부 * 조선업인민위원부 * 전기공업인민위원부 * 동력발전인민위원부 * 석유공업인민위원부 * 석탄공업인민위원부 * 비철금속인민위원부 * 철류금속인민위원부 * 화학공업인민위원부 * 고무공업인민위원부 * 운수인민위원부 * 하천선단인민위원부 * 해양선단인민위원부 * 건설인민위원부 * 대외무역인민위원부 * 조달인민위원부 * 펄프·제지공업인민위원부 * '''인민위원부 (연방공화국성)''' * [[내무인민위원부]] (NKVD) * 국가보안인민위원부 (NKGB) * 사법인민위원부 * 건축자재공업인민위원부 * 경공업인민위원부 * 육류·유제품산업인민위원부 * 식품산업인민위원부 * 수산어업인민위원부 * 잠사인민위원부 * 국내무역인민위원부 * 농업인민위원부 * 양곡·축산인민위원부 * 임업인민위원부 * 국가감독인민위원부 * 위생인민위원부 * 재무인민위원부 * '''부속 기관''' * 국가계획위원회 * 국립은행 * 예술문제위원회 * 고등학교문제위원회 * 영화산업문제위원회 '''소련 장관회의''' * '''전연방성(Общесоюзные министерства СССР)''' * 항공부(Министерство авиацио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자동차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автомоби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통상부(Министерство внешней торговли) * 가스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газо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민간항공부(Министерство гражданской авиации) * 축산/사료기계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для животноводства и кормопроизводства) * 경공업/식료품/가정기구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для легкой и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бытовых приборов) * 기계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 석유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нефтя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해양조선부(Министерство морского флота) * 의료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медицин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국방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국방부(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 일반기계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обще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 광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по производству минеральных удобрений) * 철도부(Министерство путей сообщения) * 자동화기계조종/운용부(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я, средств автоматизации и систем управления) * 통신기기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редств связи) * 무선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радио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중형기계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редне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 건설/도로/공용기계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троительного, дорожного и коммуналь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 유류기지건설/가스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редприятий нефтяной и газо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바이칼동부/극동지역건설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в районах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и Забайкалья) * 조선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удостроите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트랙터/농업기계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тракторного и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 운수건설부(Министер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 중공업/운수기계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тяжелого 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 화학/석유기계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химического и нефтя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 화학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химиче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전자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электрон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전기기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공작기계/기구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танкостроительной и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동력기계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 '''연방공화국성(Союзно-республиканские министерства СССР)''' * 내무부(Министерство внутренних дел) * 외무부(Министерство иностранных дел) * 고등/중등특수교육부(Министерство высшего и среднего специ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 지질부(Министерство геологии) * 조달부(Министерство заготовок) * 보건부(Министерство здравоохранения) * 문화부(Министерство культуры) * 경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лег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삼림/셀룰로이드-제지/수목가공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лесной, целлюлозно-бумажной и дере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토지개량/수자원부(Министерство мелиорации и водного хозяйства) * 조립/특수건설부(Министерство монтажных и специальных строительных работ) * 육류/낙농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мясной и молоч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석유정제/석유화학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нефтеперерабатывающей и нефтехимическ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식품부(Министерство пищев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농산부(Министерство плодоовощного хозяйства) * 건설재료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 수산부(Министерство рыбного хозяйства) * 체신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вязи) * 농무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 상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торговли) * 석탄공업부(Министерство уголь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 재무부(Министерство финансов) * 비철금속부(Министерство цветной металлургии) * 철강부(Министерство черной металлургии) * 발전/전력화부(Министерство энергетики и электрификации) * 건설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 사법부(Министерство юстиции) * 상공건설부(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мышленн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 농림건설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ельског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 중공업단지건설부(Министерство строительства предприятий тяжелой индустрии) * 교육부(Министерство просвещения) '''부속기관''' * '''전연방성''' * 과학/기술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науке и технике) * 대외경제교류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внешним экономическим связям) * 대기관측/환경관리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гидрометеорологии и контролю природной среды) * 발명/발견사업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делам изобретений и открытий) * 에비자원국가워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материальным резервам) * 표준화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стандартам) * '''연방공화국성''' * 국가계획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плановый комитет) * 국가검열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народного контроля) * 노동/사회문제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труду и социальным вопросам) * 자재/기술공급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матери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му снабжению) * 물가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ценам) * 임업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лесному хозяйству) * 직업기술교육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техническому образованию) * 텔레비전/라디오방송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телевидению и радиовещанию) * 영상물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кинематографии) * 인쇄/출판/간행물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делам издательств, полиграфии и книжной торговли) * 유류품수급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обеспечению нефтепродуктами) * 건설사업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делам строительства) * 탄광/고위험군근로감독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надзору за безопасным ведением работ в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и горному надзору) * [[KGB|국가안전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безопасности) * 농업기술/생산수급국가위원회(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комитет по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техническому обеспечению сельского хозяйства) * 소련 국립은행(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банк СССР) * 소련 중앙통계국(Центральное статистическое управление СССР) ~~소련 장관회의 인원이 [[대륙의 기상|100명이 넘는 이유는 장관웨이브]]~~[* 사실 [[공산주의]] 국가 특성상 모든 국가적 역량/산업이 '''국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엄청나게 많은 것이라고는 하기 어렵다.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삼성]], [[현대]], [[LG]] 등의 무수한 기업들이 운용하는 각종 계열사들(전자, 경/중공업, 건설 등)을 모두 [[국유화]]하고 정부에서 굴린다고 가정해 보면 답이 나온다. 더군다나 소련의 [[초강대국|국가 규모도 규모]]인지라...]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